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nodejs파일업로드
- 라우터미들웨어 분리
- ws 라이브러리
- JWT 하드코딩
- 세션으로 로그인 구현
- next 매개변수
- 라우트 매개변수
- 아이디 중복체크기능
- express.static
- express router
- OAuth 카카오
- useEffect clean up
- cookie-parser 만들어보기
- 비동기파일업로드
- JWT 로그인 기능 구현
- 라우터와 미들웨어
- express session
- css기초
- Uncaught Error: could not find react-redux context value; please ensure the component is wrapped in a <Provider>
- FormData()
- JWT 만들어보기
- mysql wsl
- 블록 만들기
- useContext
- buffer.from
- 시퀄라이즈 기본설정
- 라우터 분리
- express실행
- javascript기초
- node.js path
- Today
- Total
목록분류 전체보기 (110)
즐코
배열 Array 1/ 배열 선언 (string - array) 2/ 배열의 반복문 3/ 더하고 빼고 복사하기 4/ 데이터 검색 배열 관련 method 공부를 미루다가 이제야 했다. method는 함수와 같이 데이터를 return하면서 데이터타입을 변형시켜주기도 한다. * 이런 API 공부는 키워드를 VSC에서 키워드를 치고 ctrl을 누른채 클릭하면 무슨 기능을 하는지, 어떤 인자들을 넣어야 하는지 자세히 설명이 나온다. 구글링도 좋은 방법이지만, 직관적으로 내장된 API 사용법을 보는 것도 좋다고 한다.. 1/ 배열 선언 #1. string을 array로 바꿔주는 방법 1. .split('separator') separator 구분자를 넣어주지 않으면 문자열이 뭉쳐서 4개 아니라 총 1개의 요소를 가진..
웹브라우저의 동작 원리 공부 1/ 자바스크립트 코드 처리 방식 2/ 동기 비동기 3/ 스택과 큐 4/ 재귀함수 (ft.피보나치수열) 자바스크립트의 코드 처리 방식에 대해서 우선은 간단하게 원리만 이해했다. 1/ JavaScript = single threaded language?! 메모리 상에서 코드를 실행하고 처리하는 곳을 콜스택이라고 하는데, 이 콜스택은 한번에 하나씩만 처리할 수 있으면 쌓이는 일이 없이 그때그때 코드가 실행되는 곳이다. => 자바스크립트를 single threaded language 라고 한다 (하나의 프로세스에 하나의 스레드 / 멈추지 않는다) => 원래 Javascript는 hoisting (변수,함수 선언) 이후 시간순대로 코드가 실행되는데, 예외적으로 비동기 처리 방식을 보..
1. 깊은 복사 vs. 얕은 복사 2. 얕은 복사 연습해보기 다시 떠올려보는 비교연산자 https://yjleekr.tistory.com/17 Operators (연산자)에 대해서 - 1 1/ 증감 연산자 2/ 할당 연산자 3/ 논리 연산자 4/ 동등 연산자 연산자에 대해서 좀 더 공부해보았다. 산술/연결 연산자는 건너뛰고 헷갈리는 연산자에 대해서만 알아봄 1/ 증감 연산자 (Increment & dec yjleekr.tistory.com console.log({ } === { }) false가 출력된다. 왜냐하면 저번에 공부했던 object equality 에서 객체안에 같은 key:value값이 있어도 서로 다른 reference로 컴퓨터가 받아들이기 때문에 엄연히 따지면, 다른 아이들이다. 컴퓨터는..
1. 배열 array - property와 method 2. 객체 object 3. 익명함수 1. 배열 array 수많은 속성과 메소드가 있지만, 아직은 기초를 배우는 시기여서 우선은 속성 하나 메소드 하나만 배워보았다. 1/ 배열의 속성 중 하나인 length length : 배열의 길이 = 즉, 배열 안의 데이터 개수를 나타내준다. 2/ datatype 과 prototype array 자체를 출력하고 콘솔창에서 펼쳐보면, index# : value 이렇게 풀어서 볼수도 있는데, 어디서 많이 본 것 같다. => 객체 object의 형태와 같다! 즉, array는 데이터타입이 객체인 것이다. => 그렇기 때문에 객체의 속성 값을 불러올 때, 변수명.key 라는 키워드를 썼듯이, => length라는 속성..
1. 함수 (function) 2. 함수 (function) 의 사용법 1/ 함수 선언 2/ 함수 호출 3. Parameter 매개변수/인자에 대하여 4. Return에 대하여 **Return vs. console.log Function 개념 정리를 미루다미루다 이제야 써본다.. return이랑 console.log의 차이에서 좀 많이 헤맸다 ^^ 1. 함수(function) - JavaScript에서 이 function은 하나의 sub-program 역할을 한다고 보면 된다. - 프로그램이 input 을 받아서 잘 처리한 다음에 output을 내어주는 개념 - 바로 이 sub-program인 Function이 우리가 특정 task를 동일하게 반복 수행할 때, 우리가 반복적으로 코드를 적지 않아도 한 번..
5. 조건 연산자 6. Switch case 7. loops 반복문 if/for/while 등 다시 따로 공부해봄.. 5. Conditional operators 조건 연산자 (if/else if/else) if/else 문은 이미 앞에서 배움 (복습하자면, if 에는 무조건 true인 조건만 넣을 것) + else if 문 추가 : 조건을 여러개 두고 결과는 한번에 얻길 원할 때 쓴다. if(point==100){ console.log("A") }else if(point==90){ console.log("B") }else if(point==80){ console.log("C") }else{ console.log("F") } let point = 90; 일 경우, 첫번째 else if 에서 B를 출력하고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kykrx/btrpOx6eVb2/ZZfgIb1h0wAqXICzQSgle0/img.png)
1/ 증감 연산자 2/ 할당 연산자 3/ 논리 연산자 4/ 동등 연산자 연산자에 대해서 좀 더 공부해보았다. 산술/연결 연산자는 건너뛰고 헷갈리는 연산자에 대해서만 알아봄 1/ 증감 연산자 (Increment & decrement operators) 1. 증가 연산자 (++) 변수값을 1 증가시키는 것, 전위(++n) 냐 후위(--n) 냐에 따라서 디테일이 조금 다르다. 아래 #1. 전위 증가 (++n) pre-increment operator let counter = 2; const preIncrement = ++counter; console.log(`preIncrement:${preIncrement}, counter:${counter}`) // preIncrement:3, counter:3 coun..
1. let/const 변수선언 복습 1-let 2-const 2. string (문자열) 표현 tip 1. let/const 변수선언 복습 변수 선언에 대해서 변수명을 지정하면 변수를 저장하게끔 메모리에 저장공간을 확보해준다. 1- let (added in ES6) 변수를 계속 바꿔줄 수 있다. mutable data type 메모리를 읽고 쓰는 게 가능함 (ex.워드나 엑셀에서 읽기쓰기 권한이 풀려있는 개념과 비슷하려나..?) code block 개념 : 중괄호{} 안에 코드를 작성하면, 블럭 밖(중괄호 밖)에서는 블럭 안에 있는 코드 내용을 볼 수 없다. (주석같은효과?) 코드블럭 안에 있으면 코드 블럭 밖에 있는 변수명과 같은 변수명으로 중복되게 선언하여도 코드블럭은 개별적인 공간을 차지하는 개념..
1/JavaScript_ES6 와 V8 ? 2/ JavaScript 기초 시작 1. 예약어 2. 대입연산자 (=) 3. 변수와 데이터타입 1-number/boolean/string 2-배열/객체 4. 연산자 1- 산술 연산자 2- 연결 연산자 3- 비교 연산자 4- 논리 연산자 5. if문/for문 1/JavaScript_ES6 와 V8 ? ES6 란? ECMAScript / 즉 Javascript 언어의 표준 (6번째 에디션) 1/ Netscape이라는 회사가 웹디와 프로그래머가 이미지, 플러그인 등의 요소를 쉽게 조합해줄 언어를 필요로 하게 됨 2/ 자바스크립트라는 새로운 컴퓨터 언어를 개발함 3/ 자바스크립트 성공하게 됨 4/ MS사가 견제용으로 Jscript라는 걸 개발함 5/ MS사의 브라우저였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qq3U0/btrpjvI9EMY/tFhpWkbNzLv759KYWMYkn1/img.png)
1/ bit와 byte 2/ ASCII, Unicode 3/ Text encording (UTF-8 ?!) 컴퓨터는 0과 1밖에 모른다. 즉 0과 1로 이루어진 데이터/정보들의 조합만 처리 가능하다. (신호가 있고 1 없고 0 => CPU가 처리) 그래서 CPU가 높을수록 많은 데이터 처리가 가능하다!! 1/ bit와 byte Bit = Binary digit 컴퓨터는 0,1 두 종류 중 하나만 담을 수 있는 bit라는 가장 최소의 단위를 가진다. 1 bit = 0 / 1= 2가지 정보를 담을 수 있다. (boolean : true or false) 2 bits = 00 / 01 / 10 / 11 = 4가지 정보를 담을 수 있다. 4 bits = 0000 / 0001 / ~ / 1110 / 1111 = ..